본문 바로가기
다이어트+건강+운동+뷰티 트렌드+전문성 크리에이터

“해수욕장 갔다가 생명 위협? 48시간 안에 사망할 수 있습니다”

by 자유인 크리에이터 2025. 6. 27.
SMALL

“해수욕장 갔다가 생명 위협? 48시간 안에 사망할 수 있습니다”

 

“해수욕장 갔다가 생명 위협? 48시간 안에 사망할 수 있습니다”

장마철 급증하는 비브리오 패혈증…고위험군은 특히 주의하세요

 

비브리오 패혈증, 여름철 대표 치명적 감염병

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는 장마철에는 각종 세균성 감염병이 기승을 부립니다.
그중 비브리오 패혈증은 감염 시 48시간 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인 세균 감염병으로,
특히 여름철 해수욕장이나 해산물 취급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.

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 따르면,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(Vibrio vulnificus) 감염으로 발생하며
주로 피부 상처를 통해 바닷물에 접촉하거나, 덜 익힌 어패류 섭취로 감염됩니다.

 

5~10월 주의…바닷물 온도 18도 넘으면 활동 시작

이 균은 연안 해수에서 서식하며,
5~6월부터 해수 온도가 18도 이상으로 오르면 활동을 시작해
8~10월 사이 감염 위험이 가장 높아집니다.

감염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며 각각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.

 

[1] 창상 감염형: 상처 난 피부에 바닷물 닿으면 위험

  • 바닷물이나 어패류가 상처 부위에 접촉할 경우 감염
  • 감염 부위가 붓고 붉어지며 물집·괴사 증상 동반
  • 빠른 항생제 치료와 상처 관리가 핵심

 

[2] 원발성 패혈증: 덜 익힌 어패류 섭취로 감염

  • 간 질환자, 당뇨병 환자,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이
    오염된 어패류 섭취 시 감염 위험 급증
  • 고열, 오한, 전신 쇠약, 설사 등 증상
  • 감염 후 30시간 이내 손발에 수포·부종 발생 가능
  • 진행 빠를 경우 48시간 내 사망

 

감염 시 신속한 대처 필수…항생제 및 외과적 치료

비브리오 패혈증은 진단과 치료가 늦어질 경우 사망률이 50%에 달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.

  • 주로 세팔로스포린계,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로 치료
  • 심할 경우 괴사 부위 절개·절단 수술 필요
  • 초기에 오한, 발열, 근육통 등 전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내원 필요

 

“해수욕장 갔다가 생명 위협? 48시간 안에 사망할 수 있습니다”

예방이 최선…해산물 조리와 피부 노출 주의

비브리오 패혈증을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.

어패류 섭취 시

  • 5도 이하에서 냉장 보관
  • 85도 이상에서 충분히 익혀 조리
  • 조개류는 껍질 열린 후에도 5분 이상 가열

해수 접촉 시

  • 피부에 상처가 있다면 갯벌·바닷물 직접 접촉 금지
  • 어패류 손질 시 고무장갑 착용
  • 조리 전 어패류는 해수가 아닌 수돗물로 세척

 

고위험군은 더욱 주의…치사율 최대 50%

고려대 안암병원 감염내과 김정연 교수
“비브리오 패혈증은 초기 대응 여부가 생사를 가를 수 있다”며
다음과 같은 고위험군은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

  • 간 질환자
  • 당뇨병 환자
  • 알코올 중독자
  • 면역억제제 복용자
  • 항암 치료 중인 환자

이들 중 누군가가 최근 1주일 내에 덜 익힌 해산물을 먹고 오한·발열 증상을 겪는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.

 

여름철 바다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

더운 날씨에 해수욕장이나 갯벌 체험을 즐기는 일이 많아지는 여름,
“시원해서 좋다”는 생각에 바닷물에 발을 담그는 행위조차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.

특히 상처가 있거나 면역력이 약한 경우, 그 위험성은 배가됩니다.
비브리오 패혈증은 예방만이 최선의 대응입니다.


#비브리오패혈증 #여름감염병 #해수욕장주의 #48시간내사망 #어패류주의 #고위험군건강 #장마철건강관리 #세균성감염 #내배프

 
 
 
LIST